본문 바로가기
전기와주변생활

전기 컨트롤 박스 재질 STS, SUS, SS

by G햄스 2022. 12. 16.
반응형

컨트롤박스를 선정함에 있어 크기와 재질을 생각해야 하죠. 크기는 필요한 기능과 사용되는 전장품의 부피에 따라 결정되고, 재질은 설치할 장소의 환경에 따라 결정되는데, 여기서는 이 재질의 표기 STS, SUS, SS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 컨트롤 박스 내부

 

전기제어 박스의 선택

프로젝트의 시작 단계에서 박스의 크기가 얼마나 될 것 같냐고 물어보시는 분이 많은데 위에서 설명했듯이 박스의 크기는 전장품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전장품은 회로 설계가 되어야 품명이 나오는 것이고 따라서 박스의 크기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베테랑 설계자들은 경험상 대략적으로 어느 정도 크기가 될지는 알 수 있겠지만 정확하게 알 수 없으니 그냥 조금 크게 이야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재질의 표기

SUS

일본 규격(JIS)에서 쓰이는 표기입니다.  전기나 건축이나 보면 일본식 표현이 아직도 너무 많이 남아 있는것 같습니다.  '쓰뎅'이라는 말도 스태인레스의 일본식 발음이고 '써스'라는 말도 일본 규격인 SUS(Stainless Use Steel)에서 온 말입니다.

 

  • JIS G 4303 등에서 규정한 스테인레스강의 규격 명칭입니다. JIS는 일본공업규격(Japanese Industrial Standards)의 약자로, 일본산업표준센터에서 관리하는 국가규격입니다. SUS는 Stainless Use Steel의 약자로, STS와 마찬가지로 강종별로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SUS 304는 STS 304와 동일한 성분을 가진 스테인레스강을 의미합니다.

 

STS

대한민국 규격(KS)에서 쓰이는 표기입니다. Steel Type Stainless 의 약자로 도면에 표기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말로 할 때 발음이 '에스티에스'로 길어지게 됩니다.

 

발음상 일본식 표현인 '써스'가 편하므로 '에스티에스'는 잘 안 쓰는 것 같습니다.  표기를 발음하기 편하게 만들었더라면 더 많이 대중화되었을 텐데 하고 좀 아쉬운 생각이 듭니다.

 

  • STS: KS D3706 등에서 규정한 스테인레스강의 규격 명칭입니다. KS는 한국산업규격(Korean Standards)의 약자로, 한국표준협회에서 관리하는 국가규격입니다. STS는 Steel Type Stainless의 약자로, 강종별로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STS 304는 18% 크롬과 8% 니켈을 함유한 스테인레스강을 의미합니다.

 

SS

국제 규격 Stainless Steel 의 약자입니다.  이것도 '에스티에스' 보다는 발음하기 편합니다. '에스에스'.  도면 표기에 재질이 SS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정말로 가끔 보게 됩니다.

  • 국제규격(International Standards)에서 사용하는 스테인레스강의 규격 명칭입니다. SS는 Stainless Steel의 약자로,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등에서 정한 규격에 따라 분류합니다. SS도 강종별로 번호를 붙여 구분하며, 예를 들어, SS 304는 SUS 304나 STS 304와 같은 성분을 가진 스테인레스강을 의미합니다.

 

 

표기 방법, 재료의 특징

스테인레스를 위의 3가지 중 어느 표기로 사용해도 같은 말입니다.  표기의 예를 들어보면 SUS 304 3/4H 또는 STS 304 3/4H 또는 304 3/4H SS 등으로 다 같은 뜻입니다.

 

표기중 304는 스테인레스의 종류입니다.  304 외에도 316, 410, 430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성분에 니켈과 크롬 등 화학성분의 비율, 열처리 방법 등에 따라 분류되고 특성이 달라 사용되는 곳도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표기중 3/4H 는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는 표기입니다.

 

 

 

자동제어 작업에 쓰이는 전선의 종류

자동제어 전기작업을 할 때 여러 가지 기초지식이 있어야 되지만 기본적으로 전선을 알아야 합니다. 비교적 많이 쓰는 전선은 KIV, VCTF, AWG 22~16 정도이고 1차 공사에서는 TFR-CV, TFR-GV, VCT, 또 인테

sohigeonm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