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와주변생활

전기요금 - 일반 가정집 한달 전기요금 계산

by G햄스 2023. 5. 22.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이 2023년 5월 16일부터 8원 인상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 가정집의 한달 평균 전기요금과 요금인상 후 가정용 전기요금 계산방법을 정확하게 알아볼 것입니다.
  

목차

     

    전기요금 구조

    전기요금의 구조는 공식 문서를 보면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요금 까지라고 되어 있는데 사실상 청구되는 요금에는 부가가치세와 전력사업기반기금을 추가해서 나오게 됩니다.

    전기요금 구조
    전기요금 구조, 여기에 부가가치세와 전력사업기반기금이 추가되어 청구된다

     

    기본요금

    1, 2, 3단계의 기본요금이 정해져 있습니다.

     

    전력량요금

    순수하게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량에 대한 요금입니다. 이번에 인상된 전기요금은 이것이 오른 것입니다. 8원이 인상되어 키로당 120원이 되었어요.

     

    기후환경요금

    2023년 1월 기준으로 키로당 9원을 부과합니다. 매년 변동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사실상 세금성 요금이라고 봐도 된다고 생각해요.

     

    그냥 전력량 요금에 9원을 더한 129원 이라고 생각해도 되지만, 이렇게 따로 분리해 놓음으로써 요금인상이나 환경적인 이슈가 있을 때 별도 적용이 가능하니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것을 '환경세'라고 부르고 있어요.

     

    연료비조정요금

    2023년 2분기 기준 키로당 5원을 부과합니다. 매 분기 변동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이것도 세금성 요금이라고 생각해요. 기후환경요금과 연계해서 129원에 5원을 더한 134원 이라고 계산하면 되겠네요.

     

    국제 원재료 가격의 변동으로 이 요금이 변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연료세' 라고 부르고요, 5월 16일 요금 인상후 요금계산은 키로당 134원으로 해도 무방합니다.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는 전기요금의 10%를 부과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사거나 법적으로 10% 세금을 내야 합니다. 물건 값으로 현금을 달라고 하는 것은 물건을 파는 사람이 10% 세금을 사는 사람이 내게 하는 거예요.

     

    전력사업기반기금

    전기요금의 3.7%를 부과합니다. 저는 이것을 '전력세' 라고 부르고요. 위에 있는 기후환경요금과 성격이 좀 비슷한 거 같은데 솔직히 전력사업기반기금은 왜 있는지 모르겠어요.

     

    우리가 내는 전기요금으로 전력사업을 하는 것인데, 이 항목은 무슨 강제 기부금 같은 느낌이 듭니다.

    아래 링크는 한전의 이번 인상분이 반영된 전기요금 계산기 입니다.

     

     

     

    가정용 전기요금의 계산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의 정식 명칭은 '주택용전력(저압)' 입니다. 여름철 에어컨 사용으로 전기사용량이 다른 계절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전기요금을 조금 덜 받겠다고 했어요.

     

    그걸 '하계' 라고 해서 7월과 8월입니다. 1, 2, 3단계로 구간이 있고요, 공식문서에는 없는 4단계가 있어요. 바로 1000키로를 넘는 사용량에 대해선 기본전력량요금의 6.1배의 요금을 부과한답니다.

     

    기본요금

    • 910 원 : 200키로 이하 사용 (하계: 300키로 이하)
    • 1,600 원 : 201~400키로 사용 (하계: 301~450키로)
    • 7,300 원 : 400키로 초과 사용 (하계: 450키로 초과)

     

    전력량요금

    • 120 원(기존 112원) : 200키로 이하 (하계: 300키로 이하)
    • 214.6 원(기존 206.6원) : 201~400키로 사용분 (하계: 301~450키로)
    • 307.3 원(기존 299.3원) : 401~1000키로 사용분 (하계: 451~1000키로)
    • 736.6 원(기존 736.6원) : 1001키로 부터 사용분

     

    전력량요금 변화표
    한전 공식문서 - 전력량요금 변화표

     
    아래 파일은 2023년 5월 16일 인상후 발표한 공식 전기요금표 입니다.

    23.05
    1.16MB

     

    요금계산 예시 - 350kWh 사용

    우리나라 가정집 한달평균 전기사용량은 350kWh 입니다. 한달에 350키로를 사용했을 때 전기요금을 분해해 보겠습니다.

    1. 기본요금 : 1,600원

    • 350키로는 2단계 구간인 201~400키로에 해당되요

     

    2. 전력량요금 : 56,190원

    • 사용량 350키로를 단계별로 나누어 계산해요
    • 350키로 = 200키로 + 150키로
    • 120원 * 200키로 = 24,000원
    • 214.6원 * 150키로 =  32,190원
    • 전력량요금 = 24,000원 + 32,190원 = 56,190

     

    3. 기후환경요금 : 3,150원

    • 사용량에 9원을 곱해요
    • 350키로 * 9원 = 3,150원

     

    4. 연료비조정요금

    • 사용량에 5원을 곱해요
    • 350키로 * 5원 = 1,750원

     

    5. 총 전기요금 : 62,690원

    • 1~4번을 더해요
    • 1600 + 56190 + 3150 + 1750 = 62690

     

    6. 부가가치세 : 6,260원

    • 5번에 0.1을 곱해요
    • 62,690원 * 10% = 6,269원

     

    7. 전력기반기금 : 2,310원

    • 5번에 0.037을 곱해요
    • 62,690원 * 3.7% = 2,319.53원 (원이하 버림)

     

    8. 최종 청구요금 : 71,260원

    • 5번에 6번 7번을 더해요
    • 62,690원 + 6,260원 +,2,310원 = 71,260원

     

    전기요금 계산이 다소복잡한 요소가 있습니다. 제가 더 알기 쉽게 계산하는 방법 작성해 놓았습니다.

    전기요금 간단 계산기 바로가기 버튼
    전기요금 간단 계산기

     

    가전제품별 전기요금 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로 오세요.

     

    가정집에서 전기를 많이 먹는 제품: 한달 전기요금 계산

    2023년 5월 16일 1kWh 당 8원이 인상된 전기요금으로 한달 전기요금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가정집에서 전기를 많이 먹는 제품이 뭐가 있는지 알고 있으면 전기요금 절약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

    sohigeonm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