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와주변생활

자동제어 작업에 쓰이는 전선의 종류

by G햄스 2023. 1. 6.

자동제어 전기작업을 할 때 여러 가지 기초지식이 있어야 되지만 기본적으로 전선을 알아야 합니다. 비교적 많이 쓰는 전선은 KIV, VCTF, AWG 22~16 정도이고 1차 공사에서는 TFR-CV, TFR-GV, VCT, 또 인테리어에서 형광등 같은 램프 공사에서는 IV 전선을 주로 사용합니다.
 

목차

     

    전선의 종류

    KIV

    컨트롤 판넬의 배선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선입니다. '유연성도체 절연전선'이라고 하는데 그냥 KIV라고 합니다. 450/750 이하의 전압에 사용합니다. 앞의 450은 상전압, 뒤의 750은 선간전압입니다. 상전압과 선간전압은 이전 글을 참조하세요.

     

     

    단상과 삼상의 차이

    전기를 배우다 보면 단상 삼상 이런 이야기를 듣는데 도대체 둘은 뭐가 다를까요. 단상이라고 하는 것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삼상이라고 하는 것이 세 개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 그 개수만

    sohigeonmin.com

     

    검은색원안에-일곱개의주황색원이-일곱개그려져있다
    KIV 단면

    검은색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피복'이라고 합니다. 주황색 원들이 한가닥 구리선의 단면입니다.
    1.5, 2.5, 4, 6, 10, 16, 25, 35, 50, 70 등의 굵기가 있습니다. 단위는 SQ(스퀘어)라고 뒤에 붙여서 읽습니다.

     

    SQ(스퀘어)는 mm^2(제곱미리)와 같은 단위입니다. 국내에서는 SQ(스퀘어)로 단위와 명칭이 통일되어 단위를 mm^2(제곱미리)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IV

    학교에서 시퀀스 실습할 때 쓰는 뻣뻣한 전선이 이 전선입니다. '비닐 절연전선'이라고 합니다. 컨트롤 판넬 배선에는 쓰지 않지만 형광등 배선용으로 씁니다.

    IV 전선
    IV 전선

    주로 집이나 건물의 조명공사에서 많이 쓰는데 이걸 쓰는 이유는 배선하기가 편합니다. 즉 전선관을 통과시키기가 편합니다. 규격은 450/750 이하의 전압에 사용합니다.

    검은색원안-에주황색원하나가-그려져있다
    IV 단면
    검은색원안에-주황색원이-일곱개가-그려져있다
    IV연선 단면

    굵기는 KIV와 마찬가지로 1.5, 2.5, 4, 6, 10, 16, 25, 35, 50, 70 등의 굵기가 있습니다. 단위는 SQ(스퀘어).

     

    GV(TFR-GV)

    자동제어 현장에서는 장비의 프레임 외부에 접지를 잡을 때 많이 씁니다. 전기공사에서는 트레이(전선이 지나가는 길)를 태워 배선합니다.

     

    '난연 접지용 비닐절연전선'이라고 하며 피복이 굉장히 두꺼워 KIV 나 IV 보다 난연성이 뛰어납니다. 0.6/1kV 이하의 전압에 사용합니다.

    녹색원안에-주황색원이-일곱개가-그려져있다
    TFR-GV 단면

    굵기는 KIV와 마찬가지로 1.5, 2.5, 4, 6, 10, 16, 25, 35, 50, 70 등의 굵기가 있습니다. 단위는 SQ(스퀘어).

     

    CV(TFR-CV)

    전기공사의 기본적인 전선입니다. 메인 전원선과 각종 전력선으로 사용합니다. 전기적, 물리적, 화학적으로 특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피복이 굉장히 뻣뻣하고 특히 겨울에는 철심과도 같습니다.

    CV 전선
    CV 전선

    IV전선을 여러 가닥 말아놓은 형태입니다. 0.6/1kV 이하의 전압에 사용합니다. 정식 명칭은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전력케이블'이라고 합니다.

    검은색원안에-회색원이세개-회색원안에-여러개의-주황색원이-그려져있다
    CV 단면

     

    VCT

    피복이 굉장히 단단하고 뻣뻣합니다. 주로 규모가 큰 전기를 취급하는 곳에서 사용합니다. '비닐 캡타이어 케이블'이라고 하며 규격은 0.6/1kV 이하의 전압입니다.

    검은색원안에-회색원이세개-회색원안에-여러개의-주황색원이-그려져있다
    VCT 단면

    VCTF

    VCT보다 피복이 얇고 부드러워 잘 휘어지고 배선작업이 편하게 됩니다. 모터선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유연성 비닐 시스 코드'라고 합니다.

     

    여러 가닥의 KIV전선을 하나로 묶어놓은 형태로 콘센트용으로도 잘 씁니다. 300/500V 이하의 전압에 사용합니다.

    검은색-고무안에-전선이두개-세개-네개-들어있다
    VCTF 단면

    2가닥, 3가닥, 4가닥의 종류가 있습니다. 호칭을 예를들어보면 VCTF 3C(브이씨티에프 삼 씨) 이렇게 부릅니다. 3은 3가닥이라는 뜻이고 C는 Conductor(컨덕터)의 약자로 도체라는 뜻입니다.

     

    제어용 AWG

    AWG 24, AWG 22, AWG 20, AWG 18, AWG 16.
    AWG는 미국 전선규격으로 KIV 1.5SQ 밑으로 KIV가 없기 때문에 제어용으로 AWG 규격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아예 굵은 선도 AWG로 맞추어 쓰기도 하는데 아직까지는 대전류에서 우리나라 규격에 잘 안 맞는 느낌이 있습니다.

    로컬 배선 케이블로 10c, 15c, 20c, 30c, 40c 이정도로 사용하는데 앞에 전선굵기 표시를 하고 뒤에 가닥 수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20번 20c' 같이 말하는데 awg를 생략해도 알아듣습니다. 뒤에 붙은 c의 뜻은 위에도 말했듯이 컨덕터의 약자로 도체라는 뜻입니다.

    가끔 p 를 붙이는데 p의 뜻은 두가닥이 꼬여있는 쌍선 즉, 페어선을 말합니다. 1페어는 꼬여있는 2가닥 입니다. 예를들면 '24번 2p' 이렇게 말하면 AWG 24번 2페어로 된 케이블을 말합니다. 총 4가닥이 되는 것이죠.

    아래는 AWG 규격표입니다.

    AWG규격이-숫자로-적혀있다
    AWG 규격표

     

    시퀀스 자동제어 관련 글모음

     

    시퀀스 자동제어 관련 글모음

    A접점 B접점 A접점 B접점 시퀀스를 처음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A접점과 B접점입니다. 전기 시퀀스에 익숙한 사람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는 용어가 이것인데요. 모르는 사람은 당최

    sohigeonmin.com

     

    댓글